불균형한 균형 Unbalanced Balnace,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전시회 2015. 11. 10. 12:38 |전시명 : 불균형한 균형 Unbalanced Balnace
장르 : 대전전시회
기간 : 2015년 11월 5일(목)~11월 29일(수)
장소 :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a/b전시실, 학습관, 세미나실, 휴게실)
관람시간 : 오전 10시 ~ 오후 6시
관람료 : 무료
주최/기획 : 주최 : 대전문화재단 / 주관 :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 후원 : 대전광역시
문의처 : 042-253-9810~13
■ 인사말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2기 입주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마무리하는 기획전 <불균형한 균형>과 오픈스튜디오를 개최 합니다.
개관 2년째인 올해는 입주예술가들이 대흥동 주민과 함께 한 비디오댄스 프로젝트 ‘그랜드 큐티’, 프리뷰전과 릴레 이전, 광주 미디어아트 레지던스와의 교류전, 해외 레지던시와 협력한 예술가 해외 파견프로그램 등으로 대전 원도 심 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입주예술가들의 창작 역량을 실험적으로 펼쳐낸 설치, 영상, 드로잉 등 다양한 현대미술 작품을 선보 임과 동시에 입주예술가들의 작업 공간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오픈스튜디오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입주예술가 들과 함께하는 작가와의 대화 ‘아티스트 토크’, 교육 및 체험 워크숍 등으로 시민들에게 다가가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그동안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에 보내주신 성원과 도움에 감사드리며, 2기 입주예술가들의 부단한 노력에 아낌없는 격려를 보냅니다.
(재)대전문화재단 대표이사 박찬인
Greetings
Artist Residency TEMI holds a special exhibition titled UNBALANCED BALANCE, in wrapping up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second term of its resident artists as well as an open studio.
The residency’s second year has been marked by such events as Grand Cutie, a video dance project jointly participated in by the artists and the residents of Daeheung-dong; the 2015 Preview exhibition and relay exhibitions; an exchange exhibition with Gwangju Media Residence; and an artist exchange program with overseas residency. These programs have helped energize the artistic circles in the original Daejeon downtown.
The new exhibition presents a wide variety of works in contemporary art in which the resident artists have unraveled their creative talents in experimental ways including installations, videos and drawings as well as an open studio that provides a glimpse at their creation spaces. In addition, visitors can meet and converse with the artists at the Artist Talk and take part in education and hands-on workshops.
We express our gratitude for the continuous support that Artist Residency TEMI has received and at the same time, we would like to acknowledge the constant efforts made by our second term of resident artists.
President of Daejeo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PAK CHAN IN
■ 전시서문
불균형한 균형
조형언어에 있어 균형은 조건과 성격이 다른 대조적인 것들이 안정된 통일감을 유지하게끔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형태의 대소, 성질, 명암이나 채도, 재질감 등이 모든 구성 요소가 평형을 유지하여 전체로써 긴장된 조화를 이룰 때 얻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조화를 더욱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정적인 것이 아니라 대비 또는 대조와 같은 동적인 것이다. 다양한 것들이 모순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것, 변화와 조화가 예술에 요구되는 것이다.1) 다시 말해 균형이라는 것이 균형을 깨고자 하는 불균형함 속에서 오히려 그것의 속성이 유지되고 그것답 게 만들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2기 입주예술가의 하반기 기획전 <불균형한 균형>에서는 7명의 작가들이 조형언어를 통해 불균형과 균형사이를 오 가며 그려낸 궤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삶에서 끊임없이 발생되는 변화는 우리를 일시적인 불균형한 상태로 만들고 우리는 관성적으로 안정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다시 찾은 안정의 상태는 이전의 그것과는 다르다. 그리고 지속적인 외부의 자극, 내부에서 태동하는 의문들, 발생하는 변화 속에서 이러한 과정은 끊임없이 반복된다. 불균형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고 때로는 이 과정이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중심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이 우리를 한발 더 나아가게 만들어줄 것이라고 믿고 그것을 향해간다.
예술은 일상에서 벗어난 비일상적인 것을 시도하게 하고 이미 아는 것, 익숙한 것을 새롭게 들여다보게 함으로서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거나 간과했던 또는 회피했던 것을 바라보고 이해하게 만들어 준다.2) 따라서 매일 무심히 스 쳐 지나가는 것을 마주하게 만들고, 가려져있던 것을 걷어내어 우리를 둘러싼 상황, 환경, 사회의 민낯을 주목하게 한다. 이것은 어떠한 변화도 가져오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빛과 어둠과 같이 극명하게 대조된 것이 팽팽하게 공 존하고 있는, 우리가 서 있는 이 현실을 인식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오브제에 가해지는 외적인 힘을 목도하면서 자 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누군가의 선택에 의해서 결정되어지는 불균형한 힘의 상태,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게 된다.
다시 돌아와 우리가 작품 앞에서 섰을 때 조형언어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화를 마주하면서 균형이라는 것이 과 연 존재하는 것인가. 오히려 불균형한 상태야 말로 균형은 아닌가. 균형을 찾고자 하는 의지와 노력이 오히려 불균 형을 가져오는 것은 아닌가. 이러한 질문들이 끊임없이 되풀이 된다. 화수분처럼 솟아나는 여러 가지 생각과 질문 그리고 이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 이것이 예술이 우리의 삶에서 갖는 의미일 것이다. 그리고 불균형한 균형의 수레 바퀴 속에서도 우리가 계속적으로 삶을 이어가야 하는 이유를 줄 것이다.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프로그램 매니저
김 수 연
UNBALANCED BALANCE
Balance in formative language means arranging distinct objects with different conditions and features in a way that consistency may be maintained in a stable manner. It is achieved when all components such as sizes, properties, brightness/darkness, chroma levels, textures, etc. are combined to form a strained harmony. It is ironic, however, that this harmony is made more beautiful by what’s dynamic ? such as comparison or contrast ? rather than by what’s static. Change and harmony, in which diverse lements do not contradict one another, are required of the art.1) That is, the features of balance are better sustained and become further pronounced amidst unbalance, which attempts to break it.
The exhibition UNBALANCED BALANCE by the 2nd term resident artists at Artist Residency TEMI, being held in the latter half of 2015, aims at examining the traces that our artists created using formative language while oscillating between unbalance and balance. Changes that constantly occur in life place us in temporary unbalance, from which we try hard to escape and return to the state of stability. However, the rediscovered state of stabil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This process is repeated endlessly amid questions arising due to ceaseless external and internal stimulation as well as changes. One may fail to recognize the unbalance, or this process may be prolonged for him or her, but we continue to move forward with the belief that the efforts not to lose our goal will let us progress further.
Art confuses us or allows us to examine what we have overlooked or avoided and understand these, by forcing us to try the unusual in our daily routines and see familiar things in a new way.2) Thus, we get to face things that we used to pass by indifferently, clear away the curtains, and come face to face with our situations, environment and the naked face of our society. This may not bring about any change. However, it lets us perceive our reality in which opposite extremes, such as light and dark, coexist in stark contrast.
Likewise, witnessing he external power exerted on objects, one is led to look into his/her life, which is determined by someone else regardless of his/her own will and where there is an unbalance of power.
When we return and stand in front of the art work, facing the harmony forming within formative language, we are asked following questions: Does balance really exist? Isn’t unbalance really the balance? Isn’t it that the will and effort to find balance indeed bring unbalance? These questions are repeated endlessly. Countless thoughts and questions that keep forming as well as the process of looking for the answers may represent the significance of art in our life. They may give us the reason to continue living in spite of the unbalanced wheel of balance.
Program Manager of Artist Residency TEMI
KIM Suyeon
■ 출품작품
김주리
잠겨진 공기 flooded air
혼합재료, 물, 가변크기, 2015
물방울에 맺히는 빛은 서로의 상호작용으로 즉각적인 파장을 만들어 공간을 가득 채우게 된다. 물과 닿은 빛이 반 사되고 굴절되어 일으키는 가시적 이미지는 일시적이고 감각적으로 공간에 투영된다. 인식되어지는 감각은 실제가 아니고 현상의 일루젼이다. 물질에서 반영된 비-물질의 환영은 실제성을 분열시키고 시각적이고 인식적 차원의 반 전을 유도한다. 실제와 비실제의 간극은 공간감적 기제로 다가와 몸을 둘러싼 공기와 유영하며 그 경계를 경험하게 된다.
Lights reflected on water drops generate wavelengths immediately through mutual interactions and fill up the space. The visual images of lights on water drops reflected and refracted get projected through the space transiently and sensuously. The perceived sense is not reality but the illusion of a phenomenon. The illusion of non-material reflected from material fragmentizes reality and induces a reversion on the visual and perceptual level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non-reality approaches through spatial mechanism, moves through the air surrounding the human body and experiences its boundary.
더 바이트백 무브먼트 The Bite Back Movement / 이승연, 알렉산더 어거스투스 Alexander Augustus
2100년 우리 이야기의 주인공들 Future Worship in 2100AD : Characters of Our Story
철, 10x5cm, 가변설치, 2015
인간의 모든 역사는 신화, 우리 모두는 신화의 주인공이다. 오늘도 신화는 부서지고 덧붙여진다. 작가의 특권이란 마음껏 상상을 해볼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 우린 우리의 이야기, 우리의 상상이 세상에 전달되어 강력한 힘, 현대 의 신화가 생겨나길 바란다. <2100년 우리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새롭게 통일 된‘네오조선’에 사는 우리의 미래를 보여준다. 100년 후 우리는 어떤 모습일까? 사람들의 믿음은 어떻게 변해갈까? 이미 존재하는 이야기, 혹은 숨겨져 있던 이야기를 모티프삼아 현재를 반영하고 2100년 미래의 이야기를 새롭게 그려보았다. 2100년 우리의 기이하고 엉뚱한 세계에 여러분을 초대한다.
All human history belongs to the realm of myth, and we are all heros and heroines of mythology. Even today, myths are broken down and added up. I guess artists have the privilege to imagine anything. I hope that our stories and imaginations may be delivered all over the world, build up great energy and create a modern myth. <Heroes of Our Story in 2100> presents our future, in which we are living in a reunified ‘Neo-Joseon.’ How would we look in 100 years? How might people’s beliefs change? The story of the future in the year 2100 has been developed by reflecting the present based on already existing and hidden stories. Here’s an invitation to our strange and whimsical world of 2100.
박소영
떠돌아다니는 표지 The Strolling Landmarks
2채널 비디오, 2015
프로젝트는 우리가 무엇을 바라볼 때 집중되는 시선에서 흐려지는 부분들과 같이 주목되지 않는 사이 영역을 탐색 한다. 도시 구조물에 의해 빛이 닿지 않는 공간들로 태양의 이동 경로를 틀어 일시적 표지가 되는 장소로 만든다. 태양의 새로운 이동 경로가 나타나는 시간은 좌표 계산에 의해 설정되며, 예고된 시간에 증폭하는 태양광에 의해 이름 없는 공간을 위치 지을 수 있는 음성 정보가 반복 재생된다. 발견된 장소들이 일시적인 랜드마크로 나타나는 시간 프레임을 따라 태양의 이동을 추적하는 한 산책자의 동선은, 도시 사이로 구획 지어진 시선의 경로에서 벗어 난 이동선을 그린다.
The project explores unnoticed realms such as the parts next to the focus of our eyes where our views starts to blur. Spaces obstructed from light due to urban structures are turned into temporary landmarks by moving the path of the sunlight. The time when a new path of sunlight appears is set through coordinate calcul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for locating obscure spaces by means of amplified sunlight is replayed repetitively at predetermined hours. The line of movement of a promenader following the sun’s passage according to the time frame, in which discovered spaces appear as temporary landmarks, strays out of the eyes’ path divided along the city’s districts.
이선희
지금 할 수 있는 이야기(부분) Now, I can talk
명함, 청첩장, 시멘트, 180×180×12㎝, 2015
1평의 공간이 시멘트와 종이꽃으로 채워져 있고, 이 꽃은 지난 5년을 함께 해 온 각기 다른 명함들과 청첩장으로 제작되었다. 얼마 전, 나는 결혼과 함께 새로운 직업을 하나 더 얻게 되었다. 지금의 달라진 삶에 적응하고 앞으로 더욱 변화될 삶을 위해 준비하며, 보편적인 여성으로서의 삶과 태도에 대해 고민을 한다. 중심을 잃지 않기 위해 스 스로 인생의 균형을 맞추는 법을 찾아가는 현재가 내 인생의 화양연화(花樣年華)이길 바란다.
The 1-pyeong (3.3㎡) space is filled with cement and paper flowers made using numerous name cards that I have kept for the last five years and wedding invitation cards. I recently acquired a new job by getting married. Adapting to a different life and preparing for further changes, I ponder on the life and attitude of a common woman. I hope that the present, in which I’m trying to find the balance in my life without losing my true self, is the prime of my life.
조영주
DMG_비무장 여신들(Demilitarized Goddesses) DMG_Demilitarized Goddesses
단채널 영상, 8분 51초, 2015
<DMG_비무장 여신들(Demilitarized Goddesses)>는 철원 디엠지의 일곱 명의 안보관광 해설사와 함께 제작한 비디 오 작업이다. 해설사로서 이들의 역할은 관광객들에게 DMZ 내 군사시설이나 전쟁의 역사와 흔적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해설사 대부분은 타지에서 철원으로 시집와 3-40년을 살아온 여성들로 거주와 생업 때문에 매일 같이 DMZ를 드나들었다. 전쟁과 남북의 긴장에 대해 설명하던 장소가 잠시 색다른 경험의 장소가 된 다. 턱시도를 입은 신랑은 등장하지 않지만 아름답게 DMZ를 거니는 이 여성들에게서 분단의 상황과 그 한 가운데 를 삶의 터전으로 가진 한국 여성의 일상이 오버랩 된다.
<DMG_Demilitarized Goddesses> is a video work that seven Cheorwon DMZ tour guides participated. Their job is to explain to tourists about the military facilities in the DMZ and the history and traces of the Korean War. Most of the tour guides who took part in the project were women who came from other areas to Cheorwon to get married and have lived there for thirty or forty years frequenting the DMZ almost everyday to make a living. Places where they usually talk about the war and the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ransform into scenes for a unique experience. There are no grooms in tuxedos, but these women who stroll in the DMZ are overlapped with the situation of national division and the daily lives of Korean women that is centered upon it.
티치아나 질 벡 Tiziana Jill Beck
빨리 빨리 Balli Balli
드로잉, 연필, 크레용, 잉크, 종이, 31.8×45㎝, 2015 티치아나 질 벡 (Tiziana Jill Beck)은 처음 한국에 왔을 때 몇 달 동안 거주했던 서울의 호화 아파트 단지이자 쇼핑 구역인 아크로비스타에 주목했다. 이곳은 1995년 붕괴한 삼풍백화점 자리에 2001년 건설되었다. 백화점의 붕괴는 건물의 건축과 관리상의 과실에 인한 것으로 5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천명 이상이 다쳤다. 실제와 이미지 형상화를 통해 벡은 “삼풍 귀신들”의 흔적을 따라가면서 아크로비스타 부지를 탐색한다. 작가는 개인적으로 받은 인 상과 관찰을 통해 전통과 현대, 옛 신화와 현재의 신화 사이에 놓여 있는 오늘날의 한국 사회, 그리고 과거와 미래 의 연관성을 묘사하고자 한다.
Tiziana Jill Beck deals with the luxury apartment complex and shopping area in Seoul called Acrovista where the artist used to live the first months of her stay in Korea. These sites were built in 2001 on the ruins of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which collapsed in 1995. Caused by sheer negligence i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building. More than 500 people died and almost 1000 were injured. Blending the real and the imaginary, Beck explores the Acrovista site, following the tracks of the “Sampoong ghosts“. Across her personal perception and observations, Beck's aim is to portray South Korea's society today– between tradition, modernity, ancient and contemporary myths as well as the connections of the past and the future.
홍기원
무제 Untitled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5
팔레트 위의 오브제와 연기자는 1.5톤의 기계차로 정해진 시간마다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는, 움직임, 신체, 공간 의 관계를 실험하기 위한 시도로써, 작품과 관객 사이의 텐션을 통해, ‘주는 것’, ‘받는 것’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한 다. 이렇게 일방적인 듯 아닌 대화는, 키네틱 요소에서 발견되는 일시적 역할과 계급의 이슈를 현대의 가치와 지위 에 대한 연구로 확장한다.
The positions of the objects and the actor situated on the palette are changed at designated hours by 1.5-ton of forklift. It is an attempt to experiment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ion, the body and the space. It also poses the question on the boundary between ‘to give’ and ‘to receive’ through the tension between the art work and the viewers. This unilateral or non-unilateral conversation expands the temporary roles found in kinetic elements and the issue of class distinction to a study of modern values and status.
■ 전시연계 프로그램
◾ 꼼지락 꼼지락 뜨개질 / 워크숍
참여작가 : 이선희
일 정 : 11. 15(일), 11. 22(일) 11:00 - 12:00, 14:00 - 15:00 총 4회
장 소 : 2층 공동작업실
대 상 : 성인, 어린이 (1회당 10명,무료)
신청접수 : 10. 27(화) - 11. 8(일)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temi2014@naver.com/이름, 날짜와 시간, 연락처, 나이 기재)
뜨개질 기법으로 작업을 해 온 이선희작가의 작품과 연계된 워크숍입니다. 실과 손가락을 이용하여 만든 편물로 다양한 섬유 공예품과 장식품을 만들며, ‘관계’와 ‘연결’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 하얀 드레스를 입은 대화 / 체험 프로그램
참여작가 : 조영주
일 정 : 11. 5(목) - 11. 29(일) 중 8회, 1회당 3시간, 날짜는 참가자와 협의
장 소 : 스튜디오 3번(2층), 성사진관 테미스튜디오
대 상 : 중년여성 8명 (무료)
신청접수 : 10. 27(화) - 11. 8(일)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temi2014@naver.com/이름, 날짜와 시간, 연락처, 나이 기재)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의 삶을 주제로 하는 조영주 작가의 작품과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입니다. 작가는 매회 1명의 중년 여성을 초대하여 참가자의 ‘삶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동시에 참가자에게 사진촬영을 위한 단장을 해줍니다. 인근 사진관에서 촬영을 하고 인화된 사진은 참가자에게 증정됩니다. 참가자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인생에서의 ‘사랑’에 대한 의미를 회상·재고하게 되며, 작가는 인터뷰 내용을 기록합니다.
◾ 아티스트 토크 / 작가와의 대화
1부 11. 7(토) 14:00 - 16:00 김주리, 더 바이트백 무브먼트, 조영주
2부 11. 8(일) 14:00 – 16:00 박소영, 이선희, 홍기원
장소 : 전시실
대상 : 시민
전시작품 앞에서 작가가 직접 작품에 대한 설명을 하고, 관람객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작가와 관람객이 가까이 소통하는 시간입니다.
◾ ZK/U, 베를린에서 / 예술가 해외 파견 프로그램 활동 결과보고
참여작가 : 정재연(1기 입주예술가)
일 정 : 11. 12(목) 15:00 - 16:00
장 소 : 2층 공동작업실
대 상 : 시민(무료)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의 [예술가 해외 파견 프로그램]으로 올해 6-7월, 2개월간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시각예술 레지던시 ZK/U에 다녀온 정재연 작가가 활동 내용을 발표합니다. ZK/U에서의 생활과 베를린의 현대미술 동향, 그리고 베니스 비엔날레를 방문한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 정재연 작가가 베를린에서 기재한 활동보고서는 전시 기간 중 1층 로비에 전시됩니다.
◾ 테미워크숍 오픈렉처
주 제 : 한국의 젊은 작가가 ‘사는’ 법
강의자 : 호경윤 (전 아트인컬처 편집장)
일 정 : 11. 12(목) 16:00 - 18:00
장 소 : 2층 공동작업실
대 상 : 시민(무료)
◾ 테미소식
2016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3기 입주예술가 공모
일 정 : 2015.11월 - 12월
※ 자세한 사항은 추후 홈페이지에 공고 예정
문화가 모이는 곳 "대전공연전시" http://www.gongjeon.kr/
'전시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소영 개인전, 이공갤러리 (0) | 2015.11.14 |
---|---|
박지혜 개인전, 이공갤러리 (0) | 2015.11.14 |
정영복 초대展 복숭아꽃 피는 고향 "도원향(桃園鄕)", 갤러리 웃다 (0) | 2015.11.07 |
청록회 서각서예전, 대전예술가의집 (0) | 2015.11.05 |
제31회 대전수채화협회전, 대전중구문화원 (0) | 201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