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명 : 대전시립무용단 제58회 정기공연 ‘길 위에 길을 얹다’-목척교 1912

공연쟝르 : 대전무용 공연

공연날짜 : 2015년 5월 22일~5월 23일

공연시간 : 17:00

공연장소 :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티켓정보 : R석 20,000원, S석 10,000원, A석 5,000원

관람등급 : 8세 [초등학생] 이상

소요시간 : 70분

주최/기획 : 대전광역시, 대전MBC, 대전시립무용단

문의처 : 042-270-8353

예매처 : 대전예술의전당




대전시립무용단 제58회 정기공연         


‘길’로 풀어보는 대전, 대전이야기

‘길 위에 길을 얹다’…


세상 어느 땅에도 길은 없었다. 누군가 한 사람이 걷고 그 뒤를 다시 어느 누군가가 걸으면서 그렇게 길이 되었다. 길은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 기록이고 자취이며 역사이다. 그 안에는 생사고락과 희노애락, 즉 살아가는 이야기들이 얹혀있다.


오는 5월 22일(금) 오후 7시30분, 23(토) 오후 5시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에서 열리는 대전시립무용단의 제58회 정기공연 ‘길 위에 길을 얹다-목척교 1912’는 길의 상징성과 역사성에 주목했다. 


특히 이번 공연은 김효분 예술감독의 취임기념 공연과 대전시립무용단 창단 3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으로 더욱 의미가 깊다. ‘길’과 ‘목척교’를 소재로 대전의 역사와 대전시립무용단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공연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의 심장부에 위치하고, 과학기술의 터전으로 행정도시의 기반으로 ‘중도(中道)’라 불리는 ‘대전’은 ‘길’과 함께 시작된 도시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익히 알려진 대로 오늘날의 확장된 도시 ‘대전’은 철길이 만들어지며 비롯되었고, 유일하게 경부선과 호남선이 대전을 거치며 분기되는 매우 각별한 의미도 지니고 있다. 국도와 철도가 전라도와 경상도를 두루 관장하고 있는 곳…, 그래서 교통의 요충지에서 지금은 교통의 중심지가 된 곳…, 이 작품은 ‘대전’의 의미이자 상징인 ‘길’에 대한 접근이며 관점이다.


작품은 전체 6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우선 1장 ‘1912’는 이 작품 전반에 대한 이미지를 형상화했다. 중부도시 ‘대전’의 기능과 자리매김에 대한 언급이다. 먼 옛날부터 황량한 한밭벌의 목줄을 적셔주며 대전을 키워온 요람이었던 대전천과 대전의 랜드마크인 목척교를 작품으로 풀어놓는다. 2장 ‘씨줄과 날줄’은 사람과 사람이 어우러져 대전이라는 상징적인 도시가 형성되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길’은 마을로 들어서는 수단이자 통로이다. 즉 대전이라는 작품 속 상징과 최초 접근이 하천과 징검다리였다면, 길은 도시 안에서 호흡하고 일상을 영위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3장 ‘세상사 오백리’는 사람과 산, 물이 만나는 곳인 대청호 오백리길을 우리네 인생사 먼 여정에 접목하여 구성한다. 


4장 ‘일출에서 일몰까지’는 일출길과 일몰길이 있는 계족산 길에 대한 이야기이다. 동이 트는 새벽녘의 숭고함에서 앞만 보며 열심히 뛰었던 오후 한낮(젊은 날)의 기억, 해질 무렵의 쓸쓸함까지를 담아 구성한다. 5장 ‘하늘길’의 서정은 두 개로 나뉜다. 하늘은 크게 ‘높은 가치’와 ‘이상’, 그리고 아프고 슬픈 ‘이별’, 각각의 상징을 지니고 있다. 6장 ‘2015 길 위에 길을 얹다…’는 호남과 경부 두 고속도로가 대전의 진정한 의미임을 메시지로 담아 구성한다. 


김효분 예술감독은 “길이란, 그 위에 스스로의 길을 얹어 또 다른 길을 만들어가는 것임을 모두와 공유하고 공감하고자 한다”면서 “많은 시민들이 찾아주셔서 공감하고 소통하는 무대가 됐으면 한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입체감 있는 무대미술과 철저히 계산된 조명을 바탕으로, 폭발적인 춤사위와 가슴 벅찬 감동을 전할 이번 무대는 대전예술의전당 홈페이지와 인터파크를 이용해 인터넷예매를 하거나, 1544-1566으로 전화예매도 가능하다. R석 20,000원, S석 10,000원, A석 5,000원이며 20인 이상은 30%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공연내용>


- 안무 의도 - 


길은 제 각각 이름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과 밀접할수록, 또 사람들의 왕래가 잦을수록, 어느 길이든 이름을 부여받고 제 나름의 서정을 간직하고 있다.

  

대전의 길 또한 그렇다. 올레길인 ‘대청호반’의 ‘갈대밭 추억길’, 그리고 ‘오백리길’, 뿐인가 백골산성의 ’하늘길’과 계족산의 ‘일몰 혹은 일출길’까지…….


지금은 대전의 명소가 되고 답사코스가 된 이 길들은 너무도 아련한 추억이 되기도 하고 인생의 고단한 여정이기도 하며 유년과 노년의 애틋함을 지니고 쓸쓸한 이별도 노래하고 있다.


<길 위에 길을 얹다>는 ‘길’ 위에 놓인 대전의 정서, 시간과 자취를 이미지로 푼 작품이다. 그래서 땅길 외에도 철길과 물길까지 폭을 확장시켜 대전의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물길-대전천(大田川)’과 그 위에 놓인 목척교, 나무다리의 효시인 ‘목척교(木尺橋)’가 대전에서 차지하는 상징성과 위상에 대해 줄거리 중심이 아닌 시간의 흐름으로 접근해 본 작품이다. 마치 유년에서 노년으로 이어지는 인생마냥, 그리고 봄에서 겨울까지 진행되는 계절마냥…….


자못, 길이란 놓인 그 위를 마냥 걸어가는 것뿐만이 아닌 그 길 위에 스스로의 길을 얹어 또 다른 길을 만들어가는 것임을 모두와 공유하고 공감하고자 한다.




- 작품 내용 -


제 1 장 - 1912

 오래된 기억 속에서 촌락(村落)을 가로지르는 하천에는 크고 작은 돌들이 엉기성기 놓여 있었고 그 천변 곳곳엔 빨래하는 아낙들의 재잘거림이 가득했었다. 지금은 향수로만 남은 징검다리와 빨래터, 우리네 누이는 낡고 빛바랜 흑백사진에서만 존재할 뿐……. 물 또한 제 길이 있을진대, 1912 목척교(木尺橋) 그 물길 위에 또 새로운 길을 얹으면서 대전은 새로운 시대를 향해 나아갔고 그렇게 우리는 엣 서정을 추억으로만 간직하게 되었다.


제 2 장 - 씨줄과 날줄

 최초 누군가 걸었을 터이고, 그가 남긴 흔적을 따라 또 누군가 걸으면서 자연스레 그 자취는 길이 되었다. 그 길을 딛고 사람과 사람들이 어우러져 읍을 이루고 마을을 형성하며 우술군에서 한밭, 그리고 대전으로 제 이름을 지녔다. 광활한 벌판에 길이 생겨난 마냥 씨줄과 날줄처럼 철길이 놓이면서 비로소 대전이라는 도시는 그 가치를 찾게 되었다.


제 3 장 - 세상사 오백리

 대전에서 충남권을 아우르며 젖줄로 자리한 대청호(大淸湖)는 그 너른 너비만큼 옛길에서 산책로, 등산로까지 주변을 에워싼 길디 긴 길들을 품고 있다. 어찌 보면 인생은 참 길과 닮아있다. 굽이굽이 험난한 산길을 거침없이 내달리다가 갈대 우거진 풍광에 멈칫거리기도 한다. 그래서 그 이름도 오백리길이라 지었을까 들머리에서 신발 끈 조여 매고 먼 길 나설 채비하는 마냥 우리네 인생도 길고 험한 오백리 여정이니 말이다. 그 길에 차곡히 놓인 희로애락처럼……. 


제 4 장 - 일출에서 일몰까지

 마치 병풍처럼 대전을 에워싼 보문, 식장, 금병과 계족산, 그 산들은 포근하게 도시를 품고 사람들에게 제 발치부터 전부를 내어준다. 그래서일까, 계족산 황톳길은 하루의 전부인 일출길이 되기도 하고 일몰길이 되기도 한다. 태어나 푸르고 화창한 시간을 지나 검붉은 황토처럼 황혼기에 접어드는 마냥 검붉은 황토처럼 황혼기에 접어드는 마냥 그 또한 사람과 닮아있다. 어쩌면 길은 사람의 속내인가보다.


제 5 장 - 하늘길

 하늘길이 있다.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숲길, 너무도 장관인 그 경치는 마치 속세의 것이 아닌 듯 무심히 제 자리만 지키고 있다. 하늘이란 그런 건가 보다. 산 정상 그 험준한 산세를 보듬고 쌓아올려진 백골산성(白骨山城) 그 산성을 다시 휘감고 마치 하늘로 오를 것처럼 놓인 길, 하늘길은 그래서 세상의 것이 아닌 듯 보인다. 누구나 오르고 싶지만 쉬 오르지 못한 정상처럼, 혹은 손에 쥘 수 없는 미래처럼…….


제 6 장 - 2015 길 위에 길을 얹다…

 길 위에 다시 길을 얹고 그 길을 따라 수십 년 사람들 왕래가 이어져 매만져지고 다듬어져 제 모습을 찾더니 이젠 한 도시의 상징이 된 목척교(木尺橋). 현대는 결국 각 시대를 보듬어 이루어낸 결과물이며 시대는 물길 위에 놓인 목척교처럼 늘 길 위에 다시 길을 얹는 중첩인 것이다. 대전을 지나는 경부와 호남의 고속도로처럼, 대전천을 가로지르는 목척교처럼, 이제 우리는 길 위에 또다시 길을 얹고 있다. 





문화가 모이는 곳 "대전공연전시" http://www.gongjeon.kr/


사업자 정보 표시
초록발전소 | 김원덕 | 대전 동구 계족로 140번길 113 | 사업자 등록번호 : 305-11-20703 | TEL : 042-301-1001 | Mail : help@gongjeon.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0-대전동구-98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Posted by 대전공연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