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미술 20선, dtc갤러리 기획전
전시회 2016. 3. 31. 15:10 |전시명 : 한국 근현대미술 20선, dtc갤러리 기획전
쟝르 : 대전전시
기간 : 2016년 3월 25일~5월 22일
장소 : dtc갤러리(대전복합터미널 2층 동·서관 연결브릿지)
관람료 : 무료
문의처 : 042-577-2259
한국 근현대미술 20선
오치균 (1956- )
캔버스에 손가락을 이용해 아크릴물감을 두텁게 쌓아 올린 기법으로 제작하며, <감>시리즈의 작품에서는 유난히도 푸른 늦가을, 하늘빛과 대조를 이루는 붉게 익은 감과 그 감들을 붙잡고 있는 감나무의 꿈틀거림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천경자 (1924-2015)
한국화의 채색화 분야에서 독창적 화풍을 개척한 화가로 “꽃과 여인의 화가”라고 불렸다. 꿈과 정한情恨을 일관된 주제로 작품활동을 하였다. 작품 속 특유의 고독하고 몽환적이며 애틋한 눈빛의 여인, 화려한 색채와 독특한 구성으로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표출하였다.
강요배 (1952- )
제주의 역사적 체험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캔버스 위에 담는 작품으로 유명하며, 1980년대 말부터 제주도 4.3사건에 관한 연작을 제작하였고, 1992년 ‘제주민중항쟁사건’을 주제로 첫 개인전을 연 계기로 고향인 제주도에 정착하여 제주도 풍경을 담아내고 있다.
전뢰진 (1929- )
인간과 자연, 동물형상을 주요소재로 한 독특한 조각양식은 한국인들의 정서가 녹아 있는 설화를 기반으로 한다. 고졸미와 소박함, 부드러움이 특징인 작품들은 각박한 현실에서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천진무구하면서도 이상적인 세계를 상기시킨다.
남 관 (1911-1990)
한국의 비극적 상황에서 비롯된 정신적 표현의지의 상징성과 시간, 공간 및 역사의 어떤 표상을 내재시킨 작품을 제작하였다. 1960년대 중반부터 동양의 정서와 고대의 전설을 주제로 추상적 문자형식과 기하학적 형상들, 꼴라주 기법을 응용해 독특한 화면양식을 구성하였다.
이우환 (1936- )
사물에 존재감을 부여하고 사물과 인간의 관계를 강조하는 일본의 미술운동인 모노파의 이론과 실천을 주도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프랑스 파리 주드폼미술관, 미국 뉴욕 구겐하임미술관, 2015년 파리 베르사유 궁전에서 ‘이우환의 베르사유 전’을 개최했다.
최영림 (1916-1985)
일본 동경에서 수학 후 귀국, 1950년 서울로 피난을 내려왔다. 추상-반추상의 상징적 구성작업인 ‘흑색시대’(1950년대 후반)를 거쳐 황토색 주조에 흙모래를 재료로 사용해 우리의 민담, 전설, 꽃과 여인, 어린이 등을 주제로 한 민족적 애정이 가득한 ‘설화시대’를 열었다.
황염수 (1917-2008)
1934년 조선미술전람회 입선을 계기로 1938년 일본 제국미술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60년대 중반부터 ‘장미’를 주요 소재로 그려 ‘장미의 화가’라는 별칭을 얻었다. 굵고 짙은 윤곽선과 강렬한 색채를 이용하여 꽃의 아름다움을 독특한 이미지로 화폭에 구현하였다.
전광영 (1944- )
한지로 군집된 종이묶음들로 이루어진 구성적 패턴과 솟아오른 입체들의 돌출된 표면이 보여주는 일정한 구조의 반복들은 수백 개의 작은 삼각형과 사각형들은 한지로 싸서 종이끈으로 묶어 제작되었다.
김동유 (1965- )
얼굴탐구의 ‘구상연구’ 시기(1987-1998)와 꽃, 별, 나비 등을 집적-반복하여 전혀 다른 매력적인 이미지로 재구성한 ‘점으로 만든 이미지’ 시기(1999-2004)를 거쳐 'The Face - Homage' 시기(2005- )로 세계적인 작가로 인정받았다.
고영훈 (1952- )
1970년대 중반부터 극도의 사실적인 기법으로 돌을 그렸고, 1980년대부터 신문지와 책 등과 돌을 주요 소재로 하였고, 90년대에는 깃털, 날개, 꽃, 사진 등 오브제를 돌과 함께 배치한 연작을 제작하여 작품과 현실 사이의 틈새를 메우려는 극사실적인 그림을 선보였다.
임직순 (1921-1996)
자연애의 서정적 시각과 색채적 표현을 통해 실내의 여인상, 꽃과 소녀, 꽃 중심의 정물, 자연 풍경등을 주요 소재로 그렸다. 말년에는 최대한의 단순화시킨 붓터치와 명쾌한 색상으로 자연미의 생명감과 내면의 아름다움을 최대한으로 강조하려 했다.
권순철 (1944- )
‘얼굴’을 주제로 40여년간 개인의 사적인 역사뿐만 아니라 시대정신을 화폭에 담아내었다. 1988년 프랑스로 아뜰리에를 옮긴 후 무채색에 가까운 색감과 두터운 마티에르 그리고 세밀하지 않은 거친 표현을 통해 인물과 풍경의 구체적 형상을 해체함으로써 리얼리티의 근원에 집중한다.
변시지 (1926-2013)
1975년부터 제주도에 정착하면서 황토색 바탕 위에 검은 필선으로 제주 특유의 거친 풍토와 정서를 담은 ‘제주화풍’을 탄생시켰고 캔버스와 유채를 사용하면서도 수묵화를 연상케 하는 독특한 작품은 동양사상과 미의식을 통한 새로운 조형미로 평가받는다.
하인두 (1930-1989)
1960년대 기하학적 골격의 색면추상작품을 통해 불교의 선사상을 반영했다. 1970년대 이후 유동적인 파상선과 확산적인 형상으로 한층 더 심화된 사상을 표현했다. 한국의 고유한 색감과 자유로운 화면 구성을 통해 생성과 확산, 철학적 심의를 작품 속에서 구현하였다.
권옥연 (1923-2011)
향토적이고 목가적인 작품으로 국내에서 활동하던 중 1957년 프랑스 유학을 계기로 구상적인 작품에서 벗어나 상형문자나 토기, 민속품을 소재로 차용한 반추상적인 작품을 선보였다. 1960년 귀국 후 신화와 설화적 이미지가 담긴 초현실적인 작품을 선보였다.
김종학 (1937- )
김종학은 화려한 색채와 대범한 표현력으로 한국의 자연을 그린다. 그는 ‘설악의 화가’ 혹은 ‘꽃의 화가’로 불리우지만 그의 작품에 피어난 꽃과 나비, 나무와 산은 화면 위에서 구조적으로 표현된 자연의 본질이다.
박서보 (1931- )
묘법 회화의 초기에는 연필이나 철필로 선과 획을 반복적으로 긋는 행위를 통해 무위자연의 이념을 표현하였고,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후기 묘법에서는 종이 대신 한지를 이용해 대형화된 화면 속에 선긋기를 반복함으로써 바탕과 그리기가 하나로 통합된 세계를 보여준다.
문화가 모이는 곳 "대전공연전시" http://www.gongjeon.kr/
'전시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심연전, 갤러리 메르헨 초대展 (0) | 2016.04.02 |
---|---|
롯데갤러리 <달콤함 은유> Sweet Metaphor (0) | 2016.04.02 |
connect 박효정 展, 2015 갤러리이안 예술가지원 프로젝트 선정 작가 지원展 (0) | 2016.03.23 |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2016 프리뷰전' (0) | 2016.03.18 |
아시아현대사진전, 아시아 현대사진을 통해 바라보는 문화의 다양성, 롯데갤러리 (1) | 2016.03.16 |